반려동물 양육 가구 증가
농림축산식품부에서 2020년도에 조사하여 발표한,
'2020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0년 반려동물 양육률은 전체 응답자의 27.7%로 전국 추정 시,
638만 가구(전체 2,304만 가구)이며, 2019년보다 47만 가구가 증가했다고 한다.
[반려동물/이야기] - [반려동물 양육 현황] 2020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 (반려동물 양육률 27.7%)
[반려동물 양육 현황] 2020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 (반려동물 양육률 27.7%)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2021년 4월 23일 '2020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와 같은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
2gtuni.tistory.com
이처럼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반려동물과 관련된 새로운 용어들도 등장하고 있다.
이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반려동물과 관련된,
몇 가지 용어의 뜻과 의미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반려동물 관련 용어
1. 펨펫족
펨펫족이란 가족(Family)과 반려동물(Pet)의 합성어로,
반려동물을 가족, 삶의 동반자로 생각하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2. 딩펫족
의도적으로 자녀를 두지 않는 맞벌이 부부를 일컫는 딩크족(DINK: Double Income, No Kids)과,
반려동물을 뜻하는 펫(Pet)의 합성어이다.
즉, 아이 대신 반려동물을 기르며 사는 맞벌이 부부를 뜻한다.
3. 뷰니멀족
반려동물을 좋아하지만 돈과 시간 등 다양한 이유로 직접 키우기 어려운 사람들이 있다.
이에 직접 반려동물을 키우는 대신 온·오프라인에서 반려동물을 보며 즐거움을 찾는 이들을 뷰니멀족이라 한다.
뷰니멀은 보다(View)와 동물(Animal)의 합성어이다.
4. 펫코노미
펫코노미란 반려동물(Pet)과 경제(Economy)의 합성어로,
반려동물과 관련된 시장 또는 산업을 말한다.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 및 인구가 급증하면서,
펫코노미 시장의 주목받으며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마치며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가구는 매우 증가하였고,
이제 우리 생활에서 반려동물은 우리와 함께하는 소중한 존재임을 부정할 수 없다.
또한 반려동물과 관련된 다양한 용어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반려동물 관련 기사 등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단어들이기에,
간략하게나마 알고 있다면 분명 도움이 될 것이기에 간단히 소개해보았다.
최근 법무부는 반려동물에 대한 국민의 인식 변화를 법제도에 반영하고,
동물과 사람을 막론하고 생명이 보다 존중받는 사회를 이끌기 위해,
민법에 제98조의2로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라는 조항을 신설하는 법안을 마련했다.
관련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통해 보다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동물이 법적 지위를 인정받음으로써,
동물보호 강화 및 사회적 공존의 범위가 확장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반려동물/이야기] - [법무부 민법 개정안 입법예고]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 (동물 법적 지위 인정)
[법무부 민법 개정안 입법예고]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 (동물 법적 지위 인정)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 최근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가구가 늘어나면서, 동물을 생명체로서 보호하고 존중해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커져, 각종 동물학대나 동물유기 등의 문제에
2gtuni.tistory.com
'반려동물 >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 건강관리] 강아지 예방접종, 목욕, 피부 및 발톱, 항문낭 등 건강관리 방법! (0) | 2022.05.04 |
---|---|
[반려견 입양] 강아지 입양 전 확인 사항 (필수 체크리스트) (0) | 2022.05.04 |
[동물등록 조회] 반려견 등록동물 검색 및 확인 방법 (0) | 2022.05.03 |
[반려동물 양육 현황] 2020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 (반려동물 양육률 27.7%) (0) | 2021.07.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