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이야기

[반려동물 분실] 반려견 분실 시, 유기동물 발견 시 대처법

by 2gtuni 2022. 5. 11.

소중한 반려동물 끝까지 지키자!

 

현재 대한민국은 반려동물 인구 1,500만 시대다.

사람들의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은 점점 증가하고 있으나,

동시에 반려동물의 분설 및 유기 등의 문제 또한 증가하고 있다.

 

많은 고민 끝에 신중하게 반려견을 포함한 반려동물을 입양하기로 결정하고,

하루하루 정성으로 반려견의 건강관리에 신경 쓰며 행복한 나날을 보내고 있는 반려인이라면 주목하자.

 

[반려동물/이야기] - [반려견 건강관리] 강아지 예방접종, 목욕, 피부 및 발톱, 항문낭 등 건강관리 방법!

 

[반려견 건강관리] 강아지 예방접종, 목욕, 피부 및 발톱, 항문낭 등 건강관리 방법!

반려동물 입양? 반려동물 인구 1500만명 시대.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에 지난 포스팅에서는 반려견 입양과 관련하여, 강아지 입양 전 확인해야 하는 필수 체크리스트에

2gtuni.tistory.com

혹시나 반려동물을 잃어버린 경우나,

유기 혹은 유실동물을 발견했을 때 대처법에 대해 살펴볼테니 말이다.

 

반려견
< 반려견 >

 

아래 모든 내용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자료임을 밝히며,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뉴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슬기로운 반려생활] “소중한 반려동물 끝까지 지켜주세요” - ④분실·유기 편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 정부 정책뉴스포털.

www.korea.kr


반려동물 분실 시

 

[동물등록이 되어있는 반려동물을 잃어버린 경우]

- 등록대상동물을 잃어버린 날부터 10일 이내에 시장·군수·구청장·특별자치시장에게 분실 신고

* 동물보호관리시스템에서도 분실신고 가능

- 동물등록 변경 신고서, 동물등록증, 주민등록표초본 세 가지 서류 준비

 

• 「민법」제32조에 따른 동물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법인과 「비영리민간단체 지원법」제4조에 따라 등록된 동물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단체의 임원 및 회원

• 「동물보호법」제15조 제1항에 따라 설치되거나 동물보호센터로 지정된 기관의 장과 그 종사자

• 동물실험윤리위원회를 설치한 동물실험시행기관의 장과 그 종사자

•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위원

• 동물복지축산농장으로 인증을 받은 사람

• 동물장묘업, 동물판매업, 동물수입업, 동물전시업, 동물위탁관리업, 동물미용업, 동물운송업으로 등록하여 영업하는 사람과 종사자, 동물생산업의 허가를 받아 영업하는 사람과 그 종사자

• 수의사, 동물병원의 장과 그 종사자

 

[반려동물 찾기]

주변 탐문, 인터넷 활용, 동물보호센터, 경찰서

- 잃어버린 장소 중심으로 전단지를 붙이거나 주변 사람에게 도움 요청하고, 근처 동물병원과 반려견 센터 확인

동물보호관리시스템을 통해 분실신고를 하거나 해당지역 지방자치단체에 문의 또는 동물보호 목적의 법인이나 단체 홈페이지 확인

* 잃어버린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는 동물보호관리시스템에 공고됨

-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 또는 위탁한 동물보호센터에서 구조한 동물을 일정기간 보호하면서 소유자 등이 반려동물을 찾을 수 있도록 7일 이상 공고

* 공공장소를 돌아다니는 반려동물 발견하면 동물보호센터에서 소유자가 반려동물을 찾을 수 있도록 7일 이상 공고함

- 반려동물 습득 신고를 받으면 해당 지역 경찰서에 습득 사실이 공고되므로 관할 경찰서 확인

 

 

동물보호관리시스템

동물보호 상담센터 1577-0954 시스템 장애 시 054-810-8613 상담시간 : 평일 09:00 ~ 18:00

www.animal.go.kr


유기·유실동물 발견 시

 

① 유기·유실동물 신고

누구든지 버려지거나 주인 잃은 동물을 발견한 경우 관할 지방자치단체장 또는 동물보호센터에 신고 가능

 

② 반려동물 주인 찾기

- 길을 잃고 방황하는 반려동물 발견 시 소유자 등이 있는지 확인

- 동물보호 상담센터(☎1577-0954)에 전화해서 동물 발견 사실 신고 혹은 관할 지방자치단체나 유기동물 보호시설에 신고

- 해당 지역의 동물보호센터나 경찰서(지구대, 파출소, 출장소 포함)에 동물 위탁

 

③ 반려동물 유기 금지

- 반려동물 유기 시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 맹견 유기 시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

 

④ 유기된 반려동물 조치

신고 > ··구청 > 유기동물 보호센터 > 포획 > 등록 여부 확인 > 공고 진단 > 보호·관리 > 입양·기증 또는 장기 보호

 


유기동물 공고

 

관할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 또는 위탁한 동물보호센터에서는 구조한 동물을 보호하고 있는 경우 동물의 소유자 등이 보호조치 사실을 알 수 있도록 동물보호관리시스템에 7일 이상 그 사실을 공고해야 함

 

[유기동물 공고 이후 주인을 찾은 경우]

유기동물 공고 이후 소유자가 동물에 대해 반환을 요구하는 경우 동물을 소유자에게 반환해야 함(단, 소유자에게 동물 보호 비용이 청구될 수 있음)

 

[유기동물 공고 이후 주인을 찾지 못한 경우]

- 유기동물 공고가 있는 날부터 10일이 지나도 소유자 등을 알 수 없는 경우 해당 지방자치단체장이 동물 소유권 취득

- 지방자치단체장은 동물이 적정하게 사육 및 관리될 수 있도록 동물원이나 동물을 사랑하는 사람, 혹은 민간단체 등에 기증 가능

- 보호조치 중인 동물에게 질병 등 다음과 같은 사유가 있는 경우 인도적 방법으로 처리

▶ 동물이 질병 또는 상해로부터 회복될 수 없거나 지속적으로 고통을 받으며 살아야 할 것으로 수의사가 진단한 경우

▶ 동물이 사람이나 보호조치 중인 다른 동물에게 질병을 옮기거나 위해를 끼칠 우려가 매우 높은 것으로 수의사가 진단한 경우

기증 또는  분양이 곤란한 경우 관할 지방자치단체장이 부득이한 사정이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

 


마치며

 

최근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유기동물이 새로운 가정에 입양되는 등 좋은 점도 많지만,

이와 반대로 유기동물이 많아지는 문제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반려동물 입양 등에 관심이 있다면,

해당 반려동물에 대해 많이 알아보고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반려동물/이야기] - [반려견 입양] 강아지 입양 전 확인 사항 (필수 체크리스트)

 

[반려견 입양] 강아지 입양 전 확인 사항 (필수 체크리스트)

반려동물 입양? 최근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매우 증가하고 있는데, 주위에서 반려견이나 반려묘 등과 함께하는 반려인구를 찾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실제 2021년 기준 추산 국내 반려동

2gtuni.tistory.com

 

또한 사랑하는 반려동물을 반드시 등록하여,

혹시 모를 반려동물의 분실 등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반려동물/제도 및 자격증] - [반려견 동물등록] 반려동물 동물등록제 전국 의무 시행

 

[반려견 동물등록] 반려동물 동물등록제 전국 의무 시행

동물등록제란? 최근 반려동물의 양육가구 수는 엄청난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정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반려동물 양육률은 전국 추정 시 638만 가구라고 하니 말이다. 반려동물 양

2gtuni.tistory.com

 

이번 글에서는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여,

반려동물을 잃어버린 경우유기 및 유실동물을 발견했을 때 대처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모두가 사랑하는 자신의 반려동물과,

즐겁고 행복한 나날들을 보내기를 희망하여 글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